전체 글153 [JPA] @ManyToMany, 다대다 관계 풀기, 연관 관계 주인 Member 엔티티와 GroupTab 엔티티가 있습니다. 멤버와 모임으로 칭하겠습니다. (GroupTable인데 group이 예약어라서 table을 줄여서 엔티티를 생성하였습니다.) 1. 글 작성 이유 @ManyToMany의 문제점과 이 관계를 일대다 다대일 관계로 풀며 중간 테이블을 추가하는 과정과 그리고 멤버가 모임을 만들면 모임안에는 만든 멤버가 바로 들어가는 로직을 구현하면서 만난 에러를 해결 하게 되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멤버와 모임은 OneToMany, ManyToOne 관계입니다. 하나의 멤버는 여러 그룹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연관관계의 주인은 FK를 가지고 있는 그룹이 됩니다. @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 JPA 2022. 8. 19. [Spring] DTO는 왜 써야 하나요? 1. 글 작성 이유 DTO(Data Transfer Object)란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Java Beans)입니다. 어느순간부터 DTO를 사용하게 되면서 이것을 왜? 사용하는가에 대해 갑자기 생각이들었습니다. 아래 코드를 보면서 DTO는 왜 필요한가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 아래 코드들은 글 작성을 위한 실제 설계의 일부입니다. Entity @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GroupTab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groupName; pr.. Spring Boot 2022. 8. 18. [Spring Security] @AuthenticationPrincipal 어노테이션 사용하기 https://techjisu.tistory.com/97 저번글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일반로그인 테스트까지는 성공하였는데 뷰에서 OAuth2로그인을 하여서 모임을 만들려고 하니 PrincipalDetails를 member로 캐스트 할수없다는 에러가나면서안되었습니다. 이제 진짜 어떻게 해야되나..하... 그래서 security를 처음부터 공부하자는 마음으로 전체코드를 처음부터 다시 쭉 보고 있었는데 저번글의 마지막에 썼던내용이 생각났습니다. 스프링 시큐리티는 SecurityContext에 인증된 Authentication 객체를 넣어두고 현재 스레드 내에서 공유되도록 관리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스프링 시큐리티가 가지고 있는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을 이용하여 어댑터.. Spring Boot/Spring Security 2022. 8. 17. [Spring Security] 스프링 시큐리티 인증객체가 있는 컨트롤러 테스트 하기 요즘에 테스트 코드 짜는 것에 집중하고 있고 많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에 작업했던 java 8, spring, mybatis, jsp, 했던 프로젝트를 java 11, spring boot, jpa , thymeleaf, security를 사용하여 마이그레이션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KOSMO-Togather Spring Boot/Spring Security 2022. 8. 16. [JPA] 에러 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TransientPropertyValueException: object references an unsaved transient instance 위와 같은 에러가 콘솔에 찍혔다. 문제 @OneToOne @JoinColumn(name = "group_upload_file_id") private GroupUploadFile groupUploadFile; 위와 같이 연관관계를 맺어놓은 상태였다. 그룹을 만들고 그룹의 배경 사진을 업로드하는 테이블을 만들어 연관관계를 맺어 따로 관리를 하려고 하였다. 근데 에러가 나서 구글링을 해서 찾아보았다. 원인 영속성때문에 나는 오류였다. FK로 사용되는 럼 값이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넣으려다 발생한 에러라고 한다.. 나 같은 경우에는 그룹에 대한 정보를 받아오는데 파일.. JPA 2022. 8. 11. [Batch] ItemWriter 데이터 쓰기 ItemWriter 소개 ItemWriter는 Spring Batch에서 사용하는 출력 기능입니다. Spring Batch가 처음 나왔을 때, ItemWriter는 ItemReader와 마찬가지로 item을 하나씩 다루었습니다. 그러나 Spring Batch2와 청크 (Chunk) 기반 처리의 도입으로 인해 ItemWriter에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업데이트 이후 부터 ItemWriter는 item 하나를 작성하지 않고 Chunk 단위로 묶인 item List를 다룹니다. 이 때문에 ItemWriter 인터페이스는 ItemReader 인터페이스와 약간 다릅니다. Reader의 read()는 Item 하나를 반환하는 반면, Writer의 write()는 인자로 Item List를 받습니다. 이를 그.. Spring Boot/Batch 2022. 8. 8. [Batch] ItemReader (JDBC,JPA) Spring 프레임워크의 강점 중 하나는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JDBC와 같은 문제점을 추상화한 것입니다. 이를 보고 서비스 추상화라고 합니다. 그래서 Spring Batch 개발자들은 Spring 프레임워크의 JDBC 기능을 확장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배치 작업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합니다. 보통 실시간 처리가 어려운 대용량 데이터나 대규모 데이터일 경우에 배치 애플리케이션을 작업합니다. 수백만 개의 데이터를 조회하는 쿼리가 있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모두 한 번에 메모리에 불러오길 원하는 개발자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Spring의 JdbcTemplate은 분할 처리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쿼리 결과를 그대로 반환하니) 개발자가 직접 limit, offset을 사용하.. Spring Boot/Batch 2022. 8. 8. [Mockito] BDD 스타일 API + BDD 이번 포스팅에선 Mockito가 지원하고 있는 BDD 스타일 A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BDD에 대한 개념부터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BDD (Behavior Driven Development)란? TDD (Test Driven Development)는 "테스트"를 기준으로 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 BDD (Behavior Driven Development)는 "행동"을 기준으로 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 TDD를 참고했다고 하네요. 위키피디아에 나와있는 BDD 설계 방법입니다. 테스트할 때 Title, Narrative까진 사용하지 않고 Acceptance criteria만 사용합니다. Title An explicit title. Narrative A short introductory sectio.. Spring Boot/Mockito 2022. 8. 7. [Mockito] Verify(검증) 이번 포스팅에선 Mockito를 이용해 스터 빙한 메서드가 제대로 실행이 됐는지 확인해보는 메서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터 빙한 메서드를 검증하는 방법 verify 메서드를 이용해서 스터 빙한 메서드가 실행됐는지, n번 실행됐는지, 실행이 초과되지 않았는지 등 다양하게 검증해볼 수 있습니다. verify(T mock, VerificationMode mode) 위와 같은 형태로 쓰며 VerificationMode는 검증할 값을 정의하는 메서드입니다. 메소드명 설명 (테스트 내에서~) times(n) 몇 번이 호출됐는지 검증 never 한 번도 호출되지 않았는지 검증 atLeastOne 최소 한 번은 호출됐는지 검증 atLeast(n) 최소 n 번이 호출됐는지 검증 atMostOnce 최대 한 번이 호.. Spring Boot/Mockito 2022. 8. 7. [Mockito] Mock 객체 Stubbing Mock 객체의 행동이란 리턴 값이 있는 메소드는 모두 Null 을 리턴하고 있다. Optional 타입인 경우 Optional.empty로 리턴 Primitive 타입은 모두 Primitive 값을 따르고 있다. Ex. Boolean인 경우 'false' / Integer 혹은 Long인 경우 0 Collection의 경우 모두 비어있는 Collection을 가지고 있다. Void 메소드의 경우 예외를 던지지 않고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Stubbing이란 Mock 객체의 행동을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Mock객체의 when 메소드를 활용하여 Stubbing을 진행해보자. Ex. 리턴값이 있는 when 메소드 활용 1 StudyService public Study createNewStudy(Lon.. Spring Boot/Mockito 2022. 8. 7. [Mockito] Mockito 시작하기 build.gradle 입니다. 스프링 부트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spring-boot-starter 의존성을 따라서 기본으로 mockito가 들어오게 됩니다. 스프링부트는 버전을 명시해주지 않으면 최신버전으로 가져오기 떄문에 Junit이 기본으로 들어온것처럼 mockito도 4.5.1 버전으로 의존성이 추가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스프링부트로 프로젝트를 하지 않을경우 메이븐 레포지토리에서 찾아서 추가해주면 됩니다. https://mvnrepository.com/search?q=mockito Mock 객체 만들기 MemberService public interface MemberService { Optional findById(Long memberId); } 구현체가 없는 인터페이스 입.. Spring Boot/Mockito 2022. 8. 7. [Mockito] Mockito Mock 이란? Mockito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Mock에 대한 개념부터 설명하겠습니다. Mock은 한글로 "모의, 가짜의" 라는 뜻으로 테스트할 때 필요한 실제 객체와 동일한 모의 객체를 만들어 테스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위키에 정의 된 Mock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의 객체(Mock Object)란 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테스트할 경우 테스트를 수행할 모듈과 연결되는 외부의 다른 서비스나 모듈들을 실제 사용하는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실제의 모듈을 "흉내"내는 "가짜" 모듈을 작성하여 테스트의 효용성을 높이는 데 사용하는 객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나 데이터베이스 테스트 등과 같이 자동화된 테스트를 수행하기 어려운 때 널리 사용된다. - 위키백과, .. Spring Boot/Mockito 2022. 8. 7.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